본문 바로가기

경영 혁신과 정치/경영학

미국의 양적완화와 보유자산 축소에 따른 한국의 영향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은 보유자산 축소하고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지속된 ‘돈 풀기’인 양적완화가 끝나 ‘양적긴축’으로 전환했다. 유럽연합(EU)과 영국도 조만간 미국의 긴축 행보에 동참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글로벌 돈줄 죄기’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미국의 양적완화와 보유자산 축소

미국이 세계적 금융위기의 해법은 초저금리와 양적완화로 불리는 대규모 자산매입이었다. 연준은 2008년 12월 기준금리를 0~0.25%로 낮추는 ‘제로금리’를 단행했다. 또한 천문학적인 규모의 채권을 사들이며 시중에 돈을 푸는 추가 부양책을 단행했다. 연준이 2009년부터 3차에 걸쳐 양적완화를 통해 시중에 공급한 유동성은 3조 6000억 달러(약 4000조원)에 달한다.

2014년 양적완화를 중단했지만, 만기가 도래한 채권은 사들이며 유동성을 풍부하게 유지했다. 2017년말 기준 연준 보유자산은 4조 5000억 달러다.

그러나 2017년 10월부터는 매달 국채 60억 달러와 주택담보부채권(MBS) 40억 달러 등 총 100억 달러(약 11조원) 한도 내에서 만기를 연장하지 않는 방식으로 보유자산을 축소한다.
월별 매각 한도는 분기마다 상향 조정된다. 시간이 지날수록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는 가속화해 시중 유동성을 회수하는 것이다. 국채는 최대 300억 달러, MBS는 200억 달러까지 한도가 늘어난다.
연준은 2017년 12월 기준금리의 추가 인상(0.25% 포인트)을 예고했다.

이에 따른 한국의 영향은?

미국의 추가 금리 인상으로 금리역전 현상이 일어나면 국내에 들어온 외국인 자본유출 우려가 커지고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에도 큰 영향을 줄 것다.

미국 금리가 인상되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도 불가피하다. 외국인 투자자 자본유출 가능성을 막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는 1400조원에 달하는 가계부채 뇌관을 안고 있는 한국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